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데이터 공유
- jsp
- spring security
- servletContext
- servlet
- 한글 처리
- oauth
- #sendRedirect()
- tomcat
- Spring Boot
- 확장자 사라짐
- 서블릿 초기화 파라미터
- ServletConfig
- Servelt
- @PathVariable
- MVC
- Container
- #jsp
- 디자인패턴
- 점사라짐
- Spring
- #java
- #페이지이동
- ServletContextListener
- 서블릿
- spring5
- 웹 어플리케이션 감시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tomcat (1)
Choi의 고유결계
JSP Servlet: Tomcat 서버 한글 처리
Tomcat Server 한글처리 톰캣의 기본 문자 처리 방식은 IOS-8859-1 방식을 사용합니다. 개발자가 별도의 한글 인코딩을 하지 않으면 한글은 깨져 보이게 됩니다. GET,POST 두방식에 따라 한글 처리 방식이 달라지게 됩니다. GET Get 방식 요청에는 Server 파일의 server.xml을 수정하여 한글 처리를 합니다. URIEncoding의 속성 값을 위 코드 처럼 “EUC-KR”라고 수정해줍니다. POST Post 방식은 Servlet 클래스에서 doPost() 메소드 안에 request.setCharacterEncoding() 메소드들 이용합니다. protected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
Jsp,Servlet
2018. 9. 7. 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