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Servlet 썸네일형 리스트형 JSP Servlet: 쿠키/세션 (cookie/session) 쿠키 그리고 세션 쿠키와 세션을 하기전에 http프로토콜에 대해서 얘기 해봅시다. 우리가 웹을 이용할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바로 http 프로토콜입니다. http는 웹서버로 어떤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측에서 요청한것에 맞게 알맞은 로직을 수행한 후 결과를 다시 웹 브라우저로 응답합니다. 그리고 서버는 웹브라우저와의 관계를 종료하는데요. 이때 연결이 끊겼을 때 어떤 정보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바로 쿠키와 세션 입니다. 쿠키의 특징 쿠키의 용량은 개당 4kb로 용량이 제한적이다. 쿠키는 300개까지 만들수있다. 쿠키 문법 1. 쿠키 메소드 setMaxAge() : 쿠키 유효기간을 설정 합니다. setpath() : 쿠키사용의 유효 디렉토리를 설정 합니다. setValue() : 쿠키의 값을 설정 합니다. .. 더보기 JSP Servlet: 액션태그 JSP 액션태그 JSP페이지에서 어떤 동작을 하도록 지시하는 태그입니다. 페이지이동, 페이지포함 등등.. 기본적인 태그들 forward include param forward 포워드 태그는 현재 페이지에서 다른 특정페이지로 전환할때 사용하는 태그 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현재 페이지의 요청,응답에 관한 처리권을 이동할 페이지로 영구적으로 넘기는 기능 포워드 태그는 위 처럼 jsp 내에써주는데요 page 속성을 주어서 이동할 경로를 정해주면 그 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포워드 태그에 대한 중요한 2가지가 남았는데요 1. 부모의 request, response를 이동할 페이지로 전달한다 이말인 즉슨 현재 내가 있는 페이지에서 sub.jsp 이로 이동한 후에도 이동하기 전에 사용했던 requset, respon.. 더보기 [java에서 MongDB 사용하기] - 1. 몽고디비 연결하기 안녕하세요! 여러분 제가 요즘 jsp, servlet 등을 공부하면서 블로그를 만들고 있는데요 처음만드는 블로그 프로젝트라 손도많이가고 시간도 오래가고 조잡도 하게됬습니다..하하 아무튼 블로그에 쓰이는 DB는 지금 몽고디비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근데 자바에서 몽고디비를 활용하는 것들을 찾아 볼려 했지만, 연동과 아주 기초적인 내용들만 담고 있거나 영어로 되어있는 레퍼런스 문서를 읽어야 했습니다. 그래서 저와 같이 자료를 찾는데 힘드시거나 어려우신 분들과 나누고자 이렇게 글을 쓰게되었습니다. 서론이 길었네요 본론으로 가시죠^ 목차 몽고디비 설치 Java 몽고드라이버 설치 Java에서 몽고디비 연결 MongoDB_설치 ‘MongoDB’ 이 페이지에 들어가셔서 OS 환경에 맞는 버전을 다운 받아주시면 되겠습니.. 더보기 JSP Servlet: response.sendRedirect() 사용시 주의 해야할 점 response.sendRedirect() 사용시 주의 해야할 점 1. out.print() 무시 sendRedirect가 호출되기 전까지는 앞에서 써왔던 out.print() 들은 무시하게 됩니다. if(vale) { out.print(""); response.sendRedirect("main.html"); } 이 위의 예제를 실행시키면 alert()는 실행 되지 않고 main.html로 이동하게된다. 해결방안 원하는 의도를 내려면 sendRedirect를 사용하기 보다는 javascript를 이용해 페이지를 이동합니다. if(vale) { out.print(""); out.print("location.href = 'main.jsp';"); } print()에 location.herf=’이동할곳’ 이런.. 더보기 JSP Servlet: 웹어플리케이션 감시: ServletContextListener 웹 어플리케이션 감시: ServletContextListener 웹 어플리케이션의 생명주기를 감시하는 것이 바로 ServletContextListener인데 줄여서 감시 리스너라고 합니다. 이 리스너는 해당 메소드가 웹어플리케이션의 시작과 종료시에 호출됩니다(contextInitialized(),contextDestroyed()) 저도 햇갈렸던 것이 웹어플리케이션은 서블릿이 아니고 서블릿은 컴포넌트입니다. 그리고 이 컴포넌트를 묶어놓은 프로그램이 웹어플리케이션이 되는것입니다. 기본적으로ServletContextListener는 인터페이스기 때문에 우리가 직접 구현하여 사용해야합니다. 1. 리스터 클래스 제작 import javax.servlet.ServletContextEvent; import javax.. 더보기 JSP Servlet: 데이터 공유 : ServletContext 데이터 공유 : ServletContext 저번 시간에는 특정 서블릿이 시작할때만 어떤 값을 쓸수있도록 설정하는것을 배웠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특정 서블릿만 사용하는것이아닌 여러 서블릿에서 특정 데이터를 공유 하는것을 이번 글에서는 알아볼려 합니다. 설정하는 방법은 web.xml에서 context Parameter를 이용해 기술하는것인데요. context-param id abcdef pw 1234 path C:\javalec\workspace 저번시간에 배운 특정 서블릿만 사용할때는 태그안에 init-param 태그를 안에 기술하여 name value를 지정해줘서 사용했다면, 데이터 공유는 서블릿 태그 안에 기술 하지 않고 바로 태그 안에서 기술하면됩니다. id 태그 안에 이름을 정해주고 abcdef 태.. 더보기 JSP Servlet: 특정 서블릿 초기화 파라메터 만들기 서블릿 초기화 파라미터 : ServletConfig 특정 서블릿이 생성될때 초기에 어떤값들을 설정해놓고 쓰는것을 말하는데요 특정 서블릿에 초기에 필요한 데이터를 주는 방법은 2가지, web.xml에 직접 기술하는 방법, 어노테이션을 이용하여 Servlet 파일에 직접 기술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web.xml에 기술하여 초기화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web.xml Choi com.home.Choi id choi1234 기본적으로 servlet 테그안에 init-param을 써줍니다. Choi name 테그안에 초기화할 파라미터의 이름을 정해줍니다. choi1234 그 다음 바로 value 태그 안에 실제위치를 적어줍니다. 위에 모든 작업을 마친후에는 서블릿으로가서 String id = g.. 더보기 JSP Servlet: Tomcat 서버 한글 처리 Tomcat Server 한글처리 톰캣의 기본 문자 처리 방식은 IOS-8859-1 방식을 사용합니다. 개발자가 별도의 한글 인코딩을 하지 않으면 한글은 깨져 보이게 됩니다. GET,POST 두방식에 따라 한글 처리 방식이 달라지게 됩니다. GET Get 방식 요청에는 Server 파일의 server.xml을 수정하여 한글 처리를 합니다. URIEncoding의 속성 값을 위 코드 처럼 “EUC-KR”라고 수정해줍니다. POST Post 방식은 Servlet 클래스에서 doPost() 메소드 안에 request.setCharacterEncoding() 메소드들 이용합니다. protected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