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java
- jsp
- 한글 처리
- spring5
- servletContext
- @PathVariable
- spring security
- MVC
- 데이터 공유
- 서블릿 초기화 파라미터
- 디자인패턴
- Spring
- Servelt
- 확장자 사라짐
- oauth
- ServletContextListener
- servlet
- 서블릿
- ServletConfig
- 웹 어플리케이션 감시
- 점사라짐
- #페이지이동
- #sendRedirect()
- Spring Boot
- Container
- tomcat
- #jsp
Archives
- Today
- Total
Choi의 고유결계
MongoDB - 싱글톤에서 close() 본문
반응형
싱글톤 에서의 CLOSE()
Java 웹 강의를 보면 항상 의문이 들었던 점이있다. 싱글톤으로 만들어진 몽고디비 DAO에서 CLOSE()를 해줄 필요가 있나 말이다.
오늘 구글링을 하다 내 궁금중을 해소 해주는 글을 발견하였다.
하나의 Mongo 객체를 사용해야하므로 풀링을 수행합니다. 그러나 여러 객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close()명시 적으로 >호출해야합니다 .
Mongo 클래스는 스레드로부터 안전하며 스레드간에 공유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어진 DB 클러스터에 대해 단 하나의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앱 전체에서 사용합니다. 어떤 이유에서든 많은 몽고 인턴을 창작하기로 결정했다면 다음 사항에 유의하십시오.
모든 리소스 사용 한도 (최대 연결 수 등)는 mongo 인스턴스별로 인스턴스를 처리 할 때 mongo.close ()를 호출하여 리소스를 >정리해야합니다.
즉 몽고 클라이언트를 여러개 만들어 사용할경우 CLOSE()를 해야한다. 여러개 만들어 사용하는 경우는 없을것 같지만 싱글톤이 아니거나, DB 접근할때마다 새로 만드는 경우가 아니면 굳이 CLOSE()를 해야할필요는 없어 보인다.
즉 정리하자면
몽고디비 객체를 여러개 만들어 사용하는경우는 각각의 풀이 만들어진다.
- 여러개의 몽고디비가 생성 된경우 자원 제한이 생긴다
EX) 최대 접속자수 제한
- 여러개의 몽고디비가 생성 된경우 자원 제한이 생긴다
여러개의 몽고 클라이언트 객체를 만들었을 경우에는 CLOSE()를 명시적으로 호출해야한다
반응형
'DB > Mongo'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ngoDB - 커넥션 풀 (Connection Pool) (0) | 2019.03.02 |
---|---|
[java에서 MongDB 사용하기] - 2. 몽고디비 데이터값 가져오기 (0) | 2019.02.21 |
mongoDB 사용하다보니 생긴 불편한점 및 주의해야할점 (0) | 2019.01.17 |